장애가 있는 학생 교육의 폭넓은 이해와 심층적인 연구를 통해 장애 학생의 잠재적인 자질과 능력을 기르는데 기여할 수 있는 사명감있고 전문적인 특수교사를 양성하거나 재교육하는데 있다.
- 장애 아동들의 교육에 대한 사명감과 기본 윤리를 지닌 교사의 양성
- 일반학교 근무자격자에게 특수교육에 관한 재교육
교육목표 달성을 위하여 특수교육 전공 교육과정은 전문 이론뿐만 아니라 실무 기능을 익힘으로써 특수학교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 소양과 지식을 갖출 수 있도록 특수교육의 전반적이고 심도 있는 교육내용으로 구성하였다.
교직관련 과목과 특수교육에 관련한 다양한 전공과목에 필수 또는 선택과목으로 이수하게 된다. 특수교육 전공에서 학습해야할 교과목은 특수아동지도법 연구, 특수교육과정 연구, 특수학급 경영론 연구 등은 기초 과목으로 하여 각 장애 영역별로 구성된 교과목(정신지체론 연구, 시각장애론 연구, 정서 및 행동 장애론 연구, 학습장애론 연구, 청각장애론 연구, 정서장애 체육론 연구, 정신지체 체육론 연구, 지체부자유론 연구, 감각장애 체육론 연구, 지체장애 체육론 연구, 특수체육론 연구)과 특수교육 논문 설계 연구 등으로 구성하였다. 본 전공에서 개설된 교과목은 특수교육 및 체육의 이론과 실기를 심화한 과정이다.
일반 교직과목과 전공과목(기분이수/선택)을 이수하게 되면 중등 특수학교 2급 정교사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 현직 교사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접근을 통하여 최신정보와 자료를 확충할 수 있으며, 특히 특수체육에 관한 교과목을 선택적으로 이수할 수 있어 이 분야에 대한 현장적용 원리를 이해하고 실용적인 지식 및 과학적 교수방법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겸비할 수 있다.
· 특수학교 교사
· 재활교육 트레이너
· 특수교육 관련 지도자
· 지속적인 학문적 활동
· 장애자 복지 기관 근무